본문 바로가기
Infra/Linux

Unix/Linux 헷갈리는 용어들 총정리 | 개발자 필수 상식

by daddydontsleep 2025. 6. 29.
728x90
728x90

사진: UnsplashBradley Dunn

Unix/Linux 헷갈리는 용어들 완벽 정리 🐧

개발자라면 한 번쯤 "Unix가 뭐고 Linux가 뭐야?", "CentOS 없어졌다는데 Rocky Linux는 뭐야?" 이런 의문을 가져봤을 겁니다. 오늘은 이 복잡한 Unix/Linux 계보를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Unix/Linux 계보도

Unix (1969, Bell Labs) - 모든 것의 시작
├── System V (1983, AT&T)
│   ├── Solaris (1992, Sun → Oracle)
│   └── AIX (1986, IBM)
│
├── BSD (Berkeley Software Distribution, 1977)
│   ├── FreeBSD (1993)
│   ├── OpenBSD (1995)
│   ├── NetBSD (1993)
│   └── macOS/Darwin (2001, Apple)
│
└── Linux (1991, Linus Torvalds) 🐧
    ├── Red Hat 계열 (RPM 패키지)
    │   ├── Red Hat Linux (1994-2003)
    │   ├── RHEL (2003~) - 기업용 유료
    │   ├── Fedora (2003~) - 커뮤니티 최신버전
    │   ├── CentOS (2004-2021) - RHEL 무료판 (종료)
    │   ├── Rocky Linux (2021~) - CentOS 후계자
    │   └── AlmaLinux (2021~) - CentOS 후계자
    │
    ├── Debian 계열 (DEB 패키지)
    │   ├── Debian (1993~) - 안정성 최우선
    │   └── Ubuntu (2004~) - 사용자 친화적
    │       ├── Linux Mint
    │       └── Elementary OS
    │
    ├── SUSE 계열
    │   ├── openSUSE
    │   └── SUSE Linux Enterprise (SLE)
    │
    └── 기타
        ├── Arch Linux - 롤링 릴리즈
        ├── Gentoo - 소스 컴파일
        └── Android - 모바일용

📅 주요 역사적 사건들

1969-1980년대: Unix의 탄생

  • 1969년: Unix 탄생 (Bell Labs)
  • 1977년: BSD 시작 (버클리 대학)
  • 1983년: System V 출시 (상용 Unix)

1990년대: Linux 혁명

  • 1991년 8월: 리누스 토발즈가 Linux 프로젝트 공개 발표 (8월 25일)
  • 1991년 9월: Linux 0.01 첫 릴리즈 (9월 17일)
  • 1992년: Linux GPL 라이선스로 전환
  • 1993년: Debian 프로젝트 시작
  • 1994년: Red Hat Linux 첫 출시

2000년대: 상용화 시대

  • 2003년: RHEL 출시, Fedora 프로젝트 시작
  • 2004년: Ubuntu 출시, CentOS 시작

2020년대: CentOS 쇼크와 새로운 대안

  • 2020년 12월: Red Hat이 CentOS Linux 종료를 발표하고 CentOS Stream으로 전환
  • 2021년 3월: AlmaLinux 8.0 첫 정식 릴리즈 (3월 30일)
  • 2021년 6월: Rocky Linux 8.4 첫 정식 릴리즈 (6월 21일)
  • 2021년 12월: CentOS 8 공식 지원 종료 (12월 31일)
  • 2024년 6월: CentOS 7 공식 지원 종료 (6월 30일)

💼 현업에서 자주 쓰는 용어 정리

🏢 기업 환경

  • RHEL (Red Hat Enterprise Linux): "릴"이라고 읽음. 기업용 유료 Linux의 대명사
  • CentOS: "센트오에스". RHEL 무료 버전이었지만 2021년 지원 중단
  • Rocky Linux: "로키 리눅스". CentOS 대체재, 무료
  • AlmaLinux: "알마리눅스". CentOS 대체재, CloudLinux 후원

🖥️ 개발 환경

  • Ubuntu: "우분투". 개발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데스크톱 Linux
  • Fedora: "페도라". 최신 기술을 빨리 적용하는 Red Hat의 실험판
  • Debian: "데비안".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커뮤니티 배포판

☁️ 클라우드/서버 환경

  • Ubuntu Server: 클라우드에서 가장 인기 있는 Linux
  • Amazon Linux: AWS 전용 배포판
  • Container Linux: 컨테이너 전용 경량 OS

🔧 패키지 매니저로 구분하기

Red Hat 계열 (RPM 기반)

#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package-name    # CentOS 7 이하
dnf install package-name    # Fedora, CentOS 8+, Rocky, Alma

# 패키지 검색
yum search keyword
dnf search keyword

Debian 계열 (DEB 기반)

# 패키지 설치
apt install package-name
apt-get install package-name

# 패키지 업데이트
apt update && apt upgrade

🎯 용도별 추천 배포판

신입 개발자

  • Ubuntu Desktop: 가장 무난하고 자료 많음
  • Linux Mint: Ubuntu 기반, Windows 사용자에게 친숙

백엔드 개발자

  • Ubuntu Server: 클라우드 배포 시 유리
  • Rocky Linux: 기업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가능

기업 서버

  • RHEL: 유료 지원, 안정성 보장
  • Ubuntu LTS: 5년 장기 지원
  • Rocky Linux/AlmaLinux: RHEL 호환, 무료

DevOps 엔지니어

  • CentOS Stream: RHEL 업스트림 (개발용)
  • Fedora: 최신 기술 테스트
  • Alpine Linux: 컨테이너용 초경량

🗣️ 현업 대화에서 나오는 표현들

"CentOS 대체재 뭐 쓸까?"

→ Rocky Linux나 AlmaLinux 추천. 둘 다 RHEL 100% 호환

"패키지 매니저가 달라서..."

→ Red Hat 계열은 yum/dnf, Debian 계열은 apt 사용

"LTS 버전으로 가자"

→ Long Term Support. Ubuntu는 짝수 년도 4월 버전이 LTS

"롤링 릴리즈 vs 고정 릴리즈"

→ 롤링: 계속 업데이트 (Arch), 고정: 버전별 릴리즈 (Ubuntu)

🤔 자주 묻는 질문들

Q: Linux와 Unix 차이가 뭐야?
A: Unix는 1969년 원조, Linux는 1991년 Unix-like로 새로 만든 것

Q: CentOS 없어졌다는데 뭘 써야 해?
A: Rocky Linux나 AlmaLinux. 둘 다 RHEL과 100% 호환. CentOS 7은 2024년 6월에 지원 종료됨

Q: 회사에서 RHEL 쓰는데 집에서 연습하려면?
A: Rocky Linux나 AlmaLinux 설치. 명령어가 똑같음

Q: Ubuntu vs CentOS 뭐가 나아?
A: 개발용은 Ubuntu, 기업 서버는 CentOS(현재는 Rocky/Alma)

🚀 2025년 현재 트렌드

  1. 컨테이너 시대: Docker, Kubernetes가 대세
  2. 클라우드 네이티브: 클라우드 전용 배포판들 등장
  3. 보안 강화: SELinux, AppArmor 기본 적용
  4. 자동화: Ansible, Terraform과의 연동 중요

마무리

Unix/Linux 생태계는 복잡해 보이지만, 계보를 이해하면 왜 이런 배포판들이 존재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현업에서는 용도에 맞는 배포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고, 패키지 매니저만 익숙해지면 어떤 배포판이든 금방 적응할 수 있어요.

개발자라면 우선 Ubuntu로 시작해서 Linux에 익숙해진 후, 필요에 따라 다른 배포판들을 경험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


이 포스팅이 도움되셨다면 공감 버튼 꾹!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

728x9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