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AWS Lightsail 인스턴스 Ubuntu 22.04 LTS
openjdk17
tomcat8.5
사전 작업
1. 그룹 생성
sudo groupadd -g 10000 tomcat
-g 10000 옵션은 그룹의 GID(Group ID)를 10000으로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tomcat 그룹이 생성된다.
이후에는 이 그룹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관리하거나 파일 및 디렉터리에 대한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2. 사용자 생성
sudo useradd -u 10000 -g 10000 -d /home/tomcat -s /bin/false -mk /etc/skel tomcat
-u 10000 : 사용자의 UID(User ID)를 10000으로 설정한다.
-g 10000 : 사용자를 tomcat 그룹에 속하도록 설정한다.
-d /home/tomcat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home/tomat으로 설정한다.
-s /bin/false :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bin/false로 설정하여 로그인을 제한한다.
-mk /etc/skel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에 기본 스켈레톤 파일을 복사한다.
3. 다운로드할 파일 경로 찾기
Index of /dist/tomcat (apache.org)
Index of /dist/tomcat
archive.apache.org
위 경로에 들어가면 톰캣이 버전 별로 있다.
나는 8.5 버전을 다운로드하기 위해 tar.gz 파일의 경로를 복붙해뒀다.
Index of /dist/tomcat/tomcat-8/v8.5.98/bin (apache.org)
wget http://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8/v8.5.98/bin/apache-tomcat-8.5.98.tar.gz
4. 자바 설치
톰캣에 맞는 자바는 설치되어있어야한다. 이 글에서는 생략하겠다.
톰캣 설치
우선 설치할 경로로 이동한다.
/home/ubuntu 와 같이 사용자 폴더의 경로에서는 톰캣이 권한을 획득할 수 없어서 톰캣 실행이 안된다.
보통 /var/www (nginx 경로) 또는 /usr/local 이런 곳에 위치한다.
우리는 /usr/local 에 압축을 해제하겠다.
cd /usr/local
디렉터리로 이동한 후 위에서 복붙 해둔 경로를 실행한다.
wget http://archive.apache.org/dist/tomcat/tomcat-8/v8.5.98/bin/apache-tomcat-8.5.98.tar.gz
그리고 압축을 해제한다.
sudo tar xzvf apache-tomcat-8.5.98.tar.gz
sudo tar xzvf apache 까지만 쓰고 대충 tab tab 누르면 자동 완성 된다.
그러면 /usr/local 위치에 apache-tomcat-8.5.98이 생긴다.
이름이 너무 길면 나중에 쓰기 귀찮으니까 줄여주자.
sudo mv apache-tomcat-8.5.98 tomcat8.5
그리고 처음에 생성한 사용자와 그룹을 설정해준다.
sudo chown -R tomcat:tomcat tomcat8.5
sudo :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
chown :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소유자를 변경
-R : 대상 디렉터리 하위 디렉터리와 파일을 재귀적으로 처리
tomcat:tomcat : 'tomcat'사용자와 'tomcat' 그룹에게 소유권을 변경
여기 까지하면 설치만 끝난겁니다. 나머지 설정을 알아서 하실분들은 안녕히가세요.
서비스 등록
1. 스크립트 파일 생성
sudo vi /etc/systemd/system/tomcat.service
[Unit]
Description=Tomcat
After=network.target
[Service]
Type=forking
User=tomcat
Group=tomcat
Environment="JAVA_HOME=/usr/lib/jvm/java-17-openjdk-adm64"
Environment="JAVA_OPTS=-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
Environment="CATALINA_BASE=/usr/local/tomcat8.5"
Environment="CATALINA_HOME=/usr/local/tomcat8.5"
Environment="CATALINA_PID=/usr/local/tomcat8.5/temp/tomcat.pid"
Environment="CATALINA_OPTS=-Xms256M -Xmx512M -server -XX:+UseParallelGC"
ExecStart=/usr/local/tomcat8.5/bin/startup.sh
ExecStop=/usr/local/tomcat8.5/bin/shutdown.sh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2. 데몬 리로드
sudo systemctl daemon-reload
3. 톰캣 시작
sudo systemctl start tomcat
4. 톰캣 자동 시작 등록
sudo systemctl enable tomcat
5. 톰캣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tomcat
6. 톰캣 종료
sudo systemctl stop tomcat
7. 톰캣 재시작
sudo systemctl restart tomcat
끝.
[reference]
우분투(Ubuntu) 톰캣(Tomcat) 설치 하기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우분투(Ubuntu) 톰캣(Tomcat) 설치 하기
이번 글에서는 WAS(Web Application Server) 중 하나인 톰캣(Tomcat)을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blog.naver.com
'Infra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우분투] Ubuntu 22.04 Nginx 설치 (0) | 2024.01.19 |
---|---|
[Ubuntu; 우분투] openjdk / jdk / 자바17 설치 / apt-get (0) | 2024.01.16 |
[Ubuntu; 우분투] 우분투 서버 시리얼 넘버 확인하기 (0) | 2023.11.28 |
[Ubuntu; 우분투] 한 번에 성공하는 법! VirtualBox 우분투와 PuTTY 연동, 포트 포워딩 설정 초간단 튜토리얼 (0) | 2023.11.21 |
[Ubuntu; 우분투] 우분투 설치 서버 22.04 live server (0) | 2023.11.21 |